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3명 중 1명 "한 달 벌어 한 달 생활"

근로자 3명 중 1명은 저금을 하지 못하고 한 달 벌어 한 달 생활한다는 조사결과가 나왔다.     금융정보사이트 뱅크레이트가 근로자 2400여 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결과에 따르면 현재의 월급으로 겨우 생활비만을 충당하는, 이른바 ‘페이첵 투 페이첵’으로 생계를 꾸리는 사람의 비율이 34%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연령대별로 본다면 X세대(44~59세) 근로자 중 저축을 하지 못한다는 대답을 한 비율이 40%로 가장 높았다. 밀레니얼 세대(28~43세) 근로자가 34%로 뒤를 이었다. Z세대(18~27세)와 베이비부머 세대(60~78세)는 28%로 같은 수치를 기록했다. 이는 30대부터 50대까지의 근로자가 자녀 양육비 등의 지출이 많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지역별로 보면 남부(38%)와 중서부(37%)가 페이첵 투 페이첵으로 생활하는 사람이 많은 지역으로 꼽혔다. 가주를 포함한 서부가 32%로 뒤를 이었고 뉴욕을 포함한 북동부에서는 25%만이 저축을 하지 못한다 대답해 비율이 가장 낮았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임금에 대한 불만도 컸다. 현재 받는 임금에 만족한다고 말한 근로자의 비율은 19%에 불과했다. 임금에 대한 만족도는 베이비부머 세대에서 26%로 가장 높았고 X세대(20%)가 다음이었다. 밀레니얼과 Z세대의 불만족 비율은 16%였다. 연령층이 높을수록 임금에 만족하는 비율이 올라가는 경향을 보였다.     많은 사람이 생활비를 충당하기도 힘들다고 말하는 현재 상황의 가장 큰 원인은 고물가로 나타났다.     뱅크레이트의 사라 포스터 애널리스트는 “코로나가 본격적으로 영향을 끼친 2020년 2월에 비교했을 때 생활비 물가는 21%가 올랐다”며 “이는 이전에 2000달러를 생활비로 쓴 사람이 같은 생활 수준을 유지하려면 420달러를 더 내야 한다는 의미”라고 말했다. 근로자들의 임금상승이 물가상승을 전혀 따라가지 못하고 있기 때문에 인플레이션은 ‘조용한 도둑’이라고 덧붙였다.   조원희 기자생활 페이 생활비 물가 생활 수준 불만족 비율

2024-07-16

[이 아침에] 삶이 던지는 질문은 언제나 같다

‘삶이 던지는 질문은 언제나 같다’는 경영사상가 찰스 핸디가 80여 년을 살며 배우고 경험하고 깨달은 것을 손주들에게 전하는 21통의 편지를 묶은 책이다. 인상 깊게 읽었던 부분을 다음과 같이 정리해 보았다.     “용기가 지나치면 오만이 되고, 용기가 너무 부족하면 두려움에 시달린다. 자부심이 지나치면 허세가 되고, 자부심이 너무 없으면 자기 비하가 된다.”   “우리가 삶에서 알아야 할 많은 것은 학습되는 것이지 가르쳐질 수 있는 것이 아니다.”   그는 삶은 마라톤과 닮았다고 말한다. 자기만의 페이스를 유지하고 달리며 그 자체에 만족하여야 한다. 동료와 함께 달릴 수도 있고, 혼자 달릴 수도 있다. 마라톤 대회는 매년 열린다. 올해 실패했다면 내년에 다시 시도하면 된다. 삶은 장거리 경주다. 끝까지 포기하지 않고 완주하면 모두가 승자다.     사냥꾼이었던 우리 조상은 욕심이 없었다. 그들은 필요할 때만 일을 했다. 식량을 비축하지 않았으며, 배가 고프면 사냥을 나갔다. 한주에 15시간 정도밖에 일하지 않았다고 한다. 우리가 일을 많이 하게 된 것은 돈이 생겨나고부터다. 돈은 쉽게 저장이 가능하고 다양한 물건과 교환할 수 있기 때문이다. 모든 악의 근원은 돈에 대한 지나친 사랑 때문이다.     정말 좋아하는 일을 하면 돈의 많고 적음은 그다지 중요하지 않다. 금전적 손해를 감수하라는 말이 아니다. 얼마를 버느냐보다는 무엇을 하느냐가 중요하다는 뜻이다. 생활 수준을 소득에 맞게 조절해야지, 생활 수준을 유지하기 위해 돈을 벌려고 해서는 안 된다. 돈을 탐내면 영혼이 파괴된다.     어른이 자녀들에게 해주는 말 중에 잘못된 말은 드물다. 대부분 비싼 수업료를 내고 배운 삶의 지혜들이다. 하지만 이런 말을 받아들이는 젊은이는 드물다. 그들의 귀에는 간섭이며 잔소리로 들리기 마련이다.     학교는커녕 한글조차 배우지 못했던 외할머니가 하시던 말씀도 지금 되새겨보면 철학적이며 진리다. “십 년 세도 없고, 열흘 붉은 꽃 없다. 가난 구제는 나라도 못한다. 가난한 집 제삿날 돌아오듯. 가는 떡이 커야 오는 떡도 크다. 가랑비에 옷 젖는 줄 모른다. 가지 많은 나무 바람 잘 날이 없다. 개똥도 약에 쓰려면 귀하다. 개구리 올챙이 적 생각을 못 한다. 거지도 손 볼 날이 있다. 구더기 무서워 장 못 담글까” 등등.     나는 조부모는커녕 돌아가신 부모님에 대해서도 별로 아는 것이 없다. 그래서 우리 아이들은 물론 손주들에게 들려줄 이야기를 글로 써 놓았다. 3년째 일기도 매일 쓰고 있다. 일기를 쓰며 우리의 기억이 얼마나 쉽게 잊히고 잘못 기억되는가를 깨닫게 되었다.     자녀들에게 하고 싶은 말은 지나가는 말, 또는 명절이면 늘 듣는 녹음기 소리 같은 잔소리가 아닌 사랑을 담아 잘 정리한 글로 전해주면 좋을 것 같다. 듣고 싶을 때 (준비되었을 때) 꺼내 보면 훨씬 마음에 와 닿을 것이며, 더구나 세상을 떠난 부모나 조부모의 글이라면 더욱 그러하지 않겠나.     독서의 계절이라는 가을, 독서와 함께 후손들에게 들려줄 이야기를 써보면 어떨까요. 멋지게 잘 쓴 글보다는 지나친 과장 없이 평소 말하듯이 쓴 글이 더 호소력이 있답니다. 고동운 / 전 공무원이 아침에 생활 수준 마라톤 대회 가을 독서

2022-11-11

[이 아침에] 삶이 던지는 질문은 언제나 같다.

‘삶이 던지는 질문은 언제나 같다’는 경영사상가 찰스 핸디가 80여 년을 살며 배우고 경험하고 깨달은 것을 손주들에게 전하는 21통의 편지를 묶은 책이다. 인상 깊게 읽었던 부분을 다음과 같이 정리해 보았다.     “용기가 지나치면 오만이 되고, 용기가 너무 부족하면 두려움에 시달린다. 자부심이 지나치면 허세가 되고, 자부심이 너무 없으면 자기 비하가 된다.”   “우리가 삶에서 알아야 할 많은 것은 학습되는 것이지 가르쳐질 수 있는 것이 아니다.”   그는 삶은 마라톤과 닮았다고 말한다. 자기만의 페이스를 유지하고 달리며 그 자체에 만족하여야 한다. 동료와 함께 달릴 수도 있고, 혼자 달릴 수도 있다. 마라톤 대회는 매년 열린다. 올해 실패했다면 내년에 다시 시도하면 된다. 삶은 장거리 경주다. 끝까지 포기하지 않고 완주하면 모두가 승자다.     사냥꾼이었던 우리 조상은 욕심이 없었다. 그들은 필요할 때만 일을 했다. 식량을 비축하지 않았으며, 배가 고프면 사냥을 나갔다. 한주에 15시간 정도밖에 일하지 않았다고 한다. 우리가 일을 많이 하게 된 것은 돈이 생겨나고부터다. 돈은 쉽게 저장이 가능하고 다양한 물건과 교환할 수 있기 때문이다. 모든 악의 근원은 돈에 대한 지나친 사랑 때문이다.     정말 좋아하는 일을 하면 돈의 많고 적음은 그다지 중요하지 않다. 금전적 손해를 감수하라는 말이 아니다. 얼마를 버느냐보다는 무엇을 하느냐가 중요하다는 뜻이다. 생활 수준을 소득에 맞게 조절해야지, 생활 수준을 유지하기 위해 돈을 벌려고 해서는 안 된다. 돈을 탐내면 영혼이 파괴된다.     어른이 자녀들에게 해주는 말 중에 잘못된 말은 드물다. 대부분 비싼 수업료를 내고 배운 삶의 지혜들이다. 하지만 이런 말을 받아들이는 젊은이는 드물다. 그들의 귀에는 간섭이며 잔소리로 들리기 마련이다.     학교는커녕 한글조차 배우지 못했던 외할머니가 하시던 말씀도 지금 되새겨보면 철학적이며 진리다. “십 년 세도 없고, 열흘 붉은 꽃 없다. 가난 구제는 나라도 못한다. 가난한 집 제삿날 돌아오듯. 가는 떡이 커야 오는 떡도 크다. 가랑비에 옷 젖는 줄 모른다. 가지 많은 나무 바람 잘 날이 없다. 개똥도 약에 쓰려면 귀하다. 개구리 올챙이 적 생각을 못 한다. 거지도 손 볼 날이 있다. 구더기 무서워 장 못 담글까” 등등.     나는 조부모는커녕 돌아가신 부모님에 대해서도 별로 아는 것이 없다. 그래서 우리 아이들은 물론 손주들에게 들려줄 이야기를 글로 써 놓았다. 3년째 일기도 매일 쓰고 있다. 일기를 쓰며 우리의 기억이 얼마나 쉽게 잊히고 잘못 기억되는가를 깨닫게 되었다.     자녀들에게 하고 싶은 말은 지나가는 말, 또는 명절이면 늘 듣는 녹음기 소리 같은 잔소리가 아닌 사랑을 담아 잘 정리한 글로 전해주면 좋을 것 같다. 듣고 싶을 때 (준비되었을 때) 꺼내 보면 훨씬 마음에 와 닿을 것이며, 더구나 세상을 떠난 부모나 조부모의 글이라면 더욱 그러하지 않겠나.     독서의 계절이라는 가을, 독서와 함께 후손들에게 들려줄 이야기를 써보면 어떨까요. 멋지게 잘 쓴 글보다는 지나친 과장 없이 평소 말하듯이 쓴 글이 더 호소력이 있답니다.   고동운 / 전 가주 공무원이 아침에 생활 수준 마라톤 대회 가을 독서

2022-11-07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